3-1. 우상숭배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죄입니다. | 이미순 | 2021-05-09 | |||
|
|||||
2021. 5. 9 3-1. 우상숭배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죄입니다. 지금 이렇게 사람들의 삶을 흔드는 코로나는 왜 이렇게 우리에게 주어졌는가 하는 고민을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코로나로 인한 문제만 사람들의 생사를 흔들어 놓는 것만이 아닙니다. 인류역사의 다반사가 인간의 삶과 기반을 흔들어 놓는 사회적 혼란으로 인해 규범이 사라지고 가치관이 붕괴되면서 나타나는 사회적, 개인적 불안정 상태를 뜻하는 아노미현상을 일으키며 역사는 흘러왔습니다. 진부하다 할지 모르지만, 우리를 새롭게 하시는 우리를 지으신 하나님의 말씀, 성경에 정답이 있기에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으로 돌아가, 우리의 잘못된 것을 돌이키고 하나님의 말씀 안에서 변화된 우리의 삶으로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에 이루도록 하는 것이 우리 삶의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1. 구약에 나타난 우상숭배 1) 태초에-우상숭배 인류는 하나님을 예배하며 섬기도록 지어졌습니다. 그리고 모든 피조물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통치하도록 지음을 받았습니다(창1:26-28). 그러나 인간은 죄를 지었습니다. 바울은 인류의 타락을 죄로 요약할 때, 우상숭배의 용어로 묘사했습니다. 그는 사람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기를 거부하였다고 말합니다(즉, 하나님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지 않는 것입니다). 하나님 대신에 다른 피조물의 일부를 선택했습니다.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 바꾸었느니라 ․․․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김이라”(롬1:23-25). 즉, 인간은 원래 설계된, 질서를 뒤집었습니다. 인류는 피조물을 예배하고 섬겼고, 피조물이 우리 위에 군림하게 되었습니다. 2) 율법-우상을 금함 모세시대의 가장 큰 죄는 황금 송아지를 만든 일이었습니다(출32). 십계명에서 가장 먼저이며 기본적인 법칙은, 우상숭배를 금하는 것입니다. 첫 번째 계명은 다른 신들을 예배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했고, 두 번째 계명은 하나님을 자신이 (인간이) 원하는 어떤 모습으로 형상화해 우상숭배로 예배하는 것을 금지한다고 했습니다. 출애굽기20-23장에서는 하나님의 언약을 위한 행위가 주어진 후에 다른 신들과 언약을 맺는 것을 금하는 경고가 나옵니다(출23:32). 그것들이 ‘올무’가 되기 때문입니다(출23:33). 우리는 하나님을 예배하거나 아니면 피조된 무엇을(즉, 우상을) 예배합니다. 모든 개인, 인간 공동체, 인간의 사상은 무엇인가에 대한 궁극의 관심이나 충성에 근거합니다. 루터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하나님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첫 계명을 지키지 않는 것과 같다. 모든 일과 고난, 또는 삶과 죽음 속에서 하나님의 은총과 은혜와 선하신 뜻을 신뢰하지 않는 사람들은 다른 것들이나 자신의 것들에서 하나님의 은총을 구한다. 즉, 이러한 행위는 실제적인 우상숭배이다. 설령 그들이 다른 모든 계명들을 준수하며, 기도와 금식과 순종과 인내와 정숙과 정결을 지켜 행한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그들의 중심에 하나님이 부재하다면, 다른 것들은 단지 허위이며 겉치레이며 외식에 불과하다.” 3) 시편-우상에 등 돌리는 기도 시편 저자들의 기도는 하나님을 향해 나아갈 뿐만 아니라 우상에서 등을 돌리는 기도입니다. 시편24:3-4절은 “누가 주님의 산에 오를 수 있으며, 누가 그 거룩한 곳에 들어설 수 있느냐? 깨끗한 손과 해맑은 마음을 가진 사람, 헛된 우상에게 마음이 팔리지 않고, 거짓 맹세를 하지 않는 사람이다(새번역)”라고 기도합니다. 4) 선지서-우상에 대한 논쟁 이사야, 예레미야 그리고 에스겔은 우상숭배에 대하여 엄청 논쟁을 합니다. 첫째, 그들은 우상이란 헛되며, 아무것도 아니며, 무능함을 선포했습니다. 우상은 인간이 만든 사물에 불과합니다. 인간의 손으로 지은 것입니다(사2:8, 렘1:16). 그러므로 우상은 인간이 자기 형상대로 지은 것입니다. 그것은 어떤 면에서 자기 자신을 예배하는 것과 같습니다. 자신이 감각하는 것을 반영한 것입니다(사44:10-13). 둘째, 우상은 영적으로 위험한 세력입니다. 인간의 모든 에너지를 빼앗아갑니다. 이것은 세 가지 측면에서 역설적입니다. ① 우상은 힘이 없기 때문에 힘을 더하려고 합니다. 우상을 통해서 힘을 얻으려 할수록, 우상은 우리의 힘을 더 빠지게 만듭니다. ② 우상은 마음과 생각에 심각한 영적 어두움을 가져옵니다(사44:9, 18). ③ 우상숭배자들은 거짓의 거미줄에 미혹된다(사44:20). 셋째, 우상은 인간을 우상의 포로로 만듭니다. 예레미야는 ‘우상과의 관계는 연인에게 중독된 것과 같다’라고 비유합니다(렘2:25). 우상은 마음에 중독을 일으켜 철저히 우상에게 의존하게 만듭니다(사44:17). 사람의 마음을 완전히 장악해 버립니다(겔14:1-5). 우상은 인간의 주인이 됩니다. 저술가 레베카 피펏(Rebecca Pippett의 ‘빛으로 소금으로’에서)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무엇이 우리를 지배 혹은 통제(control)하든지 그것이 우리의 주인이다. 힘을 추구하는 사람은 힘에 의해 지배받는다. 인정받기를 추구하는 사람은 그가 기쁘게 하려는 사람에 의해 지배받는다. 우리가 우리를 지배하는 것이 아니다. 삶의 주인이 우리를 지배하는 것이다.” 하나님(말씀)보다 더 사랑하는 것이 있다는 것은 하나님을 떠난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그것은 우상숭배입니다. ‘우상숭배’는 ‘인간이 하나님을 떠난 모습’을 설명하는 구약성경의 특징이고 요약표현입니다. 우리에게 값없이 주신 사랑, 온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사랑이 우주입니다. 시간과 공간, 사물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 수 있고 느낄 수 있습니다. 한 주간도 하나님의 사랑이 충만하시길 빕니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