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 | 김기수 | 2024-12-21 | |||
|
|||||
[성경본문] 마태복음2:1-11절 개역개정1. 헤롯 왕 때에 예수께서 유대 베들레헴에서 나시매 동방으로부터 박사들이 예루살렘에 이르러 말하되 2.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 우리가 동방에서 그의 별을 보고 그에게 경배하러 왔노라 하니 3. 헤롯 왕과 온 예루살렘이 듣고 소동한지라 4. 왕이 모든 대제사장과 백성의 서기관들을 모아 그리스도가 어디서 나겠느냐 물으니 5. 이르되 유대 베들레헴이오니 이는 선지자로 이렇게 기록된 바 6. 또 유대 땅 베들레헴아 너는 유대 고을 중에서 가장 작지 아니하도다 네게서 한 다스리는 자가 나와서 내 백성 이스라엘의 목자가 되리라 하였음이니이다 7. 이에 헤롯이 가만히 박사들을 불러 별이 나타난 때를 자세히 묻고 8. 베들레헴으로 보내며 이르되 가서 아기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고 찾거든 내게 고하여 나도 가서 그에게 경배하게 하라 9. 박사들이 왕의 말을 듣고 갈새 동방에서 보던 그 별이 문득 앞서 인도하여 가다가 아기 있는 곳 위에 머물러 서 있는지라 10. 그들이 별을 보고 매우 크게 기뻐하고 기뻐하더라 11. 집에 들어가 아기와 그의 어머니 마리아가 함께 있는 것을 보고 엎드려 아기께 경배하고 보배합을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예물로 드리니라 예수님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 본문 : 마태복음 2장 1~11절 오늘 말씀 2절에는 “유대인의 왕으로 나신 이가 어디 계시냐?”는 말씀이 나옵니다.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는 말을 많은 사람이 들었지만, 서로 다르게 반응했습니다. 유대인의 왕, ‘아기 예수님’이 태어난 소식을 들은 사람들의 반응을 살펴보며 예수님을 맞이하는 우리의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말씀을 나누겠습니다. 1. 예수님의 탄생에 대한 사람들의 다른 반응 (1) 헤롯 왕의 반응입니다. 헤롯 왕은 동방 박사들로부터 유대인의 왕이 태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예수님의 탄생을 방해하려고 했습니다. 그런데 7절과 8절에서 아기 예수를 만나면 자신도 경배하기 위해 알려달라고 말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13절에 “헤롯이 아기를 찾아 죽이려 하니” 헤롯 왕은 예수님이 태어난 때와 장소를 알아보고 아기를 죽이려고 했습니다. 헤롯 왕은 자기의 자리에 대한 걱정 때문에 인류의 왕이시며 구원자 되신 예수님의 탄생을 기뻐하지 못했습니다. (2)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의 반응입니다. (3) 동방 박사들의 반응입니다. 동방 박사들은 왕으로 태어나신 예수님을 경배하기 위해 먼 거리를 찾아왔습니다. 정확한 장소를 알고 온 것이 아니었습니다. 동방에서부터 별을 보고 위험하고 먼 길을 오직 ‘왕이 태어나신 것’을 경배하기 위해 찾아왔습니다. 유대인의 왕으로 오실 구원자를 경배하기 위해, 많은 수고와 힘든 시간과 손해를 감수하면서 찾아온 것입니다. 2. 예수님을 맞이하는 동방 박사들의 자세 동방 박사들의 모습을 통하여 참된 경배를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참된 경배에는 ‘희생과 수고’가 있어야 합니다. 동방 박사들은 먼 길을 거쳐서 왔습니다. 낮에는 너무 덥고, 밤에는 너무 추운 사막과 같은 광야를 걸었습니다. 수많은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희생과 수고를 마다하지 않고 예수님을 찾아와서 경배한 것입니다. 예배에는 희생과 수고가 있어야 합니다. 하나님을 향한 마음을 드리기 위해, 정성을 다하여 예배를 드리는 우리 모두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2) 참된 경배는 ‘믿음’이 있어야 합니다. 그들이 예루살렘에 거의 도착했을 때 엄청난 축제와 기뻐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기대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이 예루살렘에 도착했을 때, 예루살렘은 너무나 조용했습니다. 그리고 베들레헴에 갔는데, 그곳은 왕궁도 아니었고, 아기 예수님의 아버지는 귀족도 아니었습니다. 너무나 평범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난 아기를 보면서 ‘이 아기가 정말 왕으로 오신 분이 맞을까?’ 이런 의심이 들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런데 그들의 마음에는 분명한 믿음이 있었고, 그 아기에게 최고의 예물을 드렸습니다. (3) 참된 경배에는 정성을 다한 예물이 있어야 합니다. 동방 박사가 아기 예수님께 드린 예물의 특별한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①황금- 당시 동방의 예법에는 왕께 나아갈 때 엎드려 경배하고, 황금을 선물로 드렸습니다. 금은 금속 중에서 제일 좋은 것입니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가 왕 중의 왕이심을 뜻합니다. 그리고 금은 영원히 변하지 않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영원히 변치 않으시고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를 지켜주시는 분이십니다. ②유향- 예수님의 제사장권을 상징합니다. 예수님은 우리를 위해 제사장처럼 수고하시고 하나님과 우리를 이어주는 중보자가 되어주십니다. 그리고 유향은 치료제의 역할을 했습니다. 예수님은 우리의 영적인 병에서 우리를 고치시고 우리를 살리시는 분이십니다. ③몰약- 예수님의 선지자 되심을 상징합니다. 선지자는 고난, 죽음, 희생을 의미합니다. 죄인이었던 우리는 예수님이 나를 위해 죽으시고 다시 살아나신 것을 믿기만 하면 용서받고 의로운 사람이라고 인정받게 되어 영혼이 구원을 받게 됩니다. 성탄절 직전인 대강절에 지금 우리 주변에도 여전히 3가지 부류의 사람들이 살아가고 있습니다. 헤롯 왕과 같이 예수님을 부인하고, 예수님 믿는 사람들과 교회를 공격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예수님에 대해서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또한 그 예수님을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경배하며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오늘 우리들은 어떤 사람인가요? 우리들이 동방 박사들처럼 최고의 예배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정성을 다한 예물로 예수님을 높여드리는 참된 예배자가 되시기를 바랍니다. 아기 예수님을 향하여 가장 귀한 마음을 드리고, 최고의 정성을 다하여 예배하고, 예수님을 높이며 살아가기로 다짐하는 이 대강절이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
댓글 0